본문 바로가기
일상/주식

미래 시가총액 구하는 방법 정리!

by 고독한입 2020. 6. 9.
반응형

오늘은 현재의 시가총액이 아닌 미래의 시가총액을 구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.

 

미래의 시가총액을 구하는 방법은 현재의 시가총액에 향후 희석될 수 있는 증권의 가치도 합쳐서 계산을 하여야 합니다.

 

 

희석증권에는 전환사채, 신주인수권부사채,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우선주, 회사에서 새롭게 주식을 발행해야 하는 스톡옵션 등이 포함됩니다.

 

이런 희석증권은 미래에 보통주로 전환되어 시가총액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는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.

 

 

 

  1.  전환사채 (CB) : 일정기간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을 말합니다. 당연히 주식으로 전환되어 버리면 시가총액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꼭 확인해야 하는 지표입니다.
  2. 신주인수권부사채 (BW) : 전환사채랑 많이 비교되는데 차이점을 쉽게 설명하자면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되면 채권의 효력이 사라지지만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채권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약속된 가격에 주식을 구입할 기회를 준다.
  3. 보통주 전환 가능 우선주 : 배당금 비율이 보통주보다 높고 향후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입니다.
  4. 스톡옵션 (주식매수선택권) : 기업이 임직원에게 일정 수량의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.

 

이것들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일단 먼저 전자공시시스템에 접속해야 합니다.

 

http://dart.fss.or.kr

 

전자공시시스템 - 대한민국 기업정보의 창, DART

 

dart.fss.or.kr

 

이 사이트에서 회사명을 검색합니다.

 

그리고 분기보고서/반기보고서/사업보고서를 선택해서 봅니다.

 

거기에 '자본금 변동사항'항목을 찾아야 합니다.

 

위의 항목들이 있는지 확인하면 됩니다.

 

참 쉽죠?!

 

 

 

자 그럼 미래의 시가총액을 구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.

 

현재 시가총액 + (희석증권 수 × 현재 주가)

 

 

 

이상으로 미래 시가총액을 구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.

 

아직 열심히 공부하는 중이라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으면 지적해주세요!

 

감사합니다!

반응형

'일상 >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가치투자 주식 방법에 대한 꿀팁 정리!  (0) 2020.06.10

댓글